(올림픽 공원이라서 자리는 넉넉하기에 혹시 늦게왔다고 해서 주차를 못할 걱정은 없는 곳이다)
#주차요금
다만 여기는 주차비가 저렴해서 그런지 (10분당 600원) 공연을 봤다고 해서 따로 주차권을 주지는 않는다 (다만, 2자녀 이상일 경우 다둥이카드 할인 가능하다)
#산타와 빈양말 줄거리
크리스마스 이브! 산타할아버지의 선물을 기다리는 쌍둥이 자매 ’샘‘과 ’찰리의 하룻밤 소동! ‘샘’과 ‘찰리’는 쌍둥이 자매예요. 하지만 아주 아주 다른 점이 하나 있어요. 정말 그렇게 다를 수가 없지요! ‘샘’은 언제나 얌전하고 착한 아이지만 ‘찰리’는 말썽쟁이에 장난꾸러기예요. 바로 이 점이 크리스마스 때마다 큰 골칫거리가 되었어요. ‘산타 할아버지’는 착한 아이들에게만 선물을 나눠 준다는 사실! 모두 알고 계시죠? ‘샘’과 ‘찰리’ 모두 ‘산타 할아버지’에게 크리스마스 선물을 받을 수 있을까요?
말썽꾸러기 찰리의 크리스마스 선물과 관련된 이야기이고 아이의 성장을 볼 수 있는 부분도 담고 있어서 감동받았다는 후기가 있어서 그런지 어린이 뮤지컬이지만 좀 기대가 되었다
연말이라 그런지 빈좌석이 거의 없다.
공연시작~
커튼콜~
시간이 순식간에 지나갔다..
끝나고 나서 첫 느낌은 와.. 아이역할을 실제 아역배우가 연기해서 놀랐고
(찾아보니 작년까지는 성인배우가 했었고 올해부터 처음으로 아역배우를 캐스팅했다고 한다)
실수를 한번도 안해서 더 놀랐다...
와~~
이건 드라마나 영화가 아니고 뮤지컬이고
(NG는 있을 수 없다 실수하면 끝이다
근데 아역이 이걸 이렇게 잘해낸다고?..)
샘도 잘하긴 했지만 특히 찰리를 연기한 아이의 대사는
독백도 있고 중간중간 노래와 함께 너무너무 많았는데 실수 한 번을 안하고 너무 완벽했다...
코로나19가 끝나나 싶었더니 이번에도 중국발 뭐 하나가 터졌는데 하필 애들한테 잴 무서운 폐렴이다.
아직 국내에서는 환자가 크게 증가하지는 않은 거 같은데 앞으로 상황이 어떻게 될지 모르니 미리 알아보고 대비하자.
1.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이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Mycoplasma pneumonia)은 소아·청소년 연령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세균성 폐렴으로 기침 감기와 폐렴을 포함해 다양한 유형의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은 분류상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적 위치에 있으나 세균으로 분류되며 호흡기(인후, 폐 및 기관지 등)의 상피 표편을 손상시킨다.
비정형 세균성 폐렴의 일종으로 광범위한 임상 증상과 질병 발현이 관찰되며 자기복제를 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유기체로 알려져 있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게놈 구조(0·8 Mbp)를 갖고 있으며 세포벽이 없고 매우 천천히 자란다는 특징(generation time 6h)이 있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별명이 걸어 다니는 폐렴이라고 불린다. 항생제가 잘 듣기 때문에 약만 먹으면 대부분 일상생활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에 이어 요즘 우리나라에서도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특히 아이들이 많이 걸리고 있는데, 최근 의학계는 마이코플라즈마 세균이 더 독해진 건 항생제에 내성이 생겼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2. 발생현황
전세계적으로 3~7주년 주기의 유행을 갖는 폐렴으로 특히 소아 연령에서 특징적인 대유행이 발생하는 편이다. 특히 2000년 이후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이 출현해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주목할 점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1차 항생제인 마크로라이드에 내성이 있는 균주가
2011년 이후 우세종이 됐다는 것이다. 이것이 중국발 이슈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는 지난 2011년과 2015년, 2019년에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대유행이 발생한 바 있으며 지난 10월 셋째주부터 11월 둘째주까지 최근 4주간 확진자 수가 102명에서 226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소아를 포함한 1~12세 어린이 및 청소년이 입원 환자의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3. 전파경로
전파 경로는 일반적인 호흡기 바이러스와 유사하게 비말을 통해 사람 간의 전파가 이뤄지며
주로 함께 거주하는 가족 등 밀착접촉자를 통해 감염된다.
4. 잠복기
1~4주 (평균 12~14일)
5. 임상증상
발열, 기침, 인후통, 두통, 피로감등의 경미한 임상증상을 시작으로
인후염 등과 같은 상기도 감염증, 기관지염 등을 유발하여 일부의 경우 중증의 비정형 폐렴으로 발전
감염초기는발열, 두통, 콧물, 인후통이 나타나고 이어서 기침이 2주간 지속됨 보통 증상이 3~4주간 지속되다가 회복
호흡기 외 증상으로는 드물게 피부의 다형 홍반이나 관절염, 수막염, 뇌염 등 호흡기 외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5세 미만의 소아에서는 재채기나 코막힘, 천명음(쌕쌕거리는 소리), 구토, 설사 등이 관찰되기도 한다.
#독감이랑 구분방법?
처음에는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기침하고 열이 나는 건 같기 때문이죠. 그런데 해열제를 먹어도 열이 자꾸 나면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전문가 얘기 들어보겠습니다
백정현/소아청소년과 전문의 : '가슴이 답답하다' 이런 것도 있지만 복통으로도 많이 오거든요. 그래서 배가 아프면서 기침도 심하고, 열이 많이 난다 그러면 그때는 엑스레이를 좀 적극적으로 찍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여담이지만
이 분은 우리아이들 병원에서 잴 인기있는 의사이다.
우리애들도 온라인으로 예약시스템이 바뀌기 전엔
몇 번 보긴 했었는데
와 명의다!
그런 느낌보단 다른 의사선생님과 비슷한데
다른 점은
아이의 상태에 대해 보호자에게 상세하게 설명을 해준다.
(그래서 인기가 있는 거 같기도..하고
주위에 다른 선생님한테 갔다가 애가 안 나아서 백정현 선생님한테 다시 간다는 분들도 있는 것도 사실이다.
뭐 어쨌든.. 지금은 온라인 예약시스템으로 바뀌고 나선 병원자체 예약이 힘들다;)
6. 진단
정확한 진단은 구강과 호흡기에서 검체를 채취해 PCR 검사를 통해 진행
7. 치료
마이코플라즈마 감염증은 지난 8월 하향 조정된 코로나19와 같은 제4급 법정 감염병이지만 코로나19와 달리 항생제 치료에 반응이 좋아, 적절한 항생제 투여시 임상 경과를 단축시킬 수 있다.
치료제는 마크로라이드계(macrolides) 및 퀴놀론계(quinolone) 항생제를 투약하는 방식이다. (단 18세이하 소아, 청소년에게 퀴놀론계 항생제는 제한됨)
해외에서는 소아 환자에 있어 마크로라이드 불응성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2차 항생제로 테트라사이클린제와 퀴놀론제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해당 약제들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에서 소아 연령 금기 약물로 지정해 사용이 제한된 상황이다.
그 이유는 부작용문제 때문인데..
테트라사이클린은 치아 착색, 법랑질(치아 맨위 하얀 부분) 형성 부전, 일과성 골발육 부전과 같은 부작용 위험이 있어 12세 미만에게는 사용이 제한된다.
또한 퀴놀론제는 하지에서 아킬레스건, 상지에서는 어깨 및 손의 건염 및 건파열과 같은 관절병증, 뼈연골증과 같은 부작용 발생 위험으로 18세 이하에서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현재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와 대한소아감염학회가 내놓은 '소아 마크로라이드 불응성 중증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치료 지침'에 따르면 우선 마크로라이드 항생제를 투여하고 72시간 내에 호전되면 해당 약물을 지속 투여한다.
그러나 상태가 호전되지 않고 중증 폐렴으로 악화될 경우 2차 항생제(테트라사이클린제 또는 퀴놀론제)로 변경하거나 항생제 치료와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를 병용 투여하게 된다.
치료 지침은 "테트라사이클린제와 퀴놀론제 사이에 효과 차이는 없으며 환자의 전신 상태 및 치료에 따른 이득과 위해를 고려해 선택해야 한다"라며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경구용과 정주용 사이에 효과 차이가 없고 1~2mg/kg/day를 3~5일간 환자 상태를 고려해 투여한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중증 어린이 환자의 경우 성인약을 쓸 수 있는 지침을 논의 중이다.
그리고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 감염 시 몸에서 항체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면역이 생기지만 오래 지속되지는 않아 재감염이 흔히 일어날 수 있다.
이대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소아호흡기 전문의 박영아 교수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이 진단되면 마크로라이드 계열 항생제를 우선 투약하는데 이 때 대부분 호전되기 때문에 마이코플라즈마를 쉽게 생각할 수 있다"며 "그런데 최근 입원 치료했던 소아들은 마크로라이드에 내성을 보이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의 비율이 높고 항생제를 투여해도 증상 호전이 되지 않는 경우가 늘어 과거보다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8. 예방
전문가들은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코로나19와 마찬가지로 사람들과의 접촉을 자제하고 철저한 개인위생을 준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익명을 요구한 전문의는 "외출하거나 식사 전후, 아이의 기저귀를 교체한 후에는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는 것이 좋다"라며 "실외 활동을 할 때에는 가급적 사람이 많은 곳은 피하고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 개인방역을 철저히 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박영아 교수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은 잠복기가 2~3주로 길기 때문에 가족 및 어린이집 내에서 유행이 수주간 지속될 수 있다"며 "마이코플라즈마 감염자와 밀접접촉 후 발열, 기침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원을 삼가고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